오누이 (동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누이"는 17세기 잠바티스타 바실레의 "닌닐로와 넨넬라" 이야기에서 처음 기록된 동화로, 여러 유럽 국가에서 다양한 제목으로 유통되었다. 그림 형제가 1812년 출판한 버전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숲속에서 계모의 학대를 피해 도망친 오누이가 겪는 시련을 그린다. 남동생이 마법에 걸려 사슴이 되고, 누이가 왕비가 되지만 계모의 음모로 위기에 처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동화는 AT-450 유형으로 분류되며, 가족 간의 사랑과 헌신, 역경 속에서도 진실을 지키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현대 문학,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등으로 각색되어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림 동화 - 신데렐라
신데렐라는 가혹한 환경의 여성이 신분 상승을 이루는 설화로,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며 계모와 의붓자매에게 학대받다 왕자와 결혼하여 행복을 찾는다는 기본 줄거리를 공유하고, 샤를 페로의 《상드리용》은 요정 대모, 호박 마차, 유리 구두 등의 요소를 추가하여 널리 알려졌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재창작되어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 그림 동화 - 헨젤과 그레텔
헨젤과 그레텔은 그림 형제의 민담으로, 가난한 아이들이 숲에서 마녀를 만나 위기를 겪지만 지혜롭게 극복하고 행복하게 된다는 내용이며, 다양한 판본과 각색으로 존재한다.
오누이 (동화) |
---|
2. 역사
오누이 이야기는 17세기 경 잠바티스타 바실레의 ''펜타메론''에서 "닌닐로와 넨넬라" 이야기로 처음 기록되었다.[33] 이후 여러 유럽 국가에서 다양한 제목으로 유통되었지만, 주요 줄거리는 대부분 그대로 유지되었다. 러시아에서는 "알료누슈카 누이와 이바누슈카 오빠"로 더 널리 알려졌으며, 알렉산드르 아파나시에프가 ''러시아 민담''에 수집했다.[2]
그림 형제는 1812년 ''어린이와 가정 동화'' 초판에서 이 이야기의 짧은 버전을 출판한 후, 1819년 두 번째 판에서 내용을 대폭 확장하고 수정했다. 그들의 버전은 독일 이야기꾼 마리 하센플루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1]
때때로 오누이는 헨젤과 그레텔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헨젤과 그레텔은 다른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림 형제는 그 제목으로 헨젤과 그레텔을 선택했고, 이 이야기에는 오누이 제목을 유지했다.
폴란드 민속학자 율리안 크르지자노프스키는 폴란드 작가이자 시인인 크시슈토프 코빌리엔스키/크시슈토프 코빌리엔스키pl가 1558년에 쓴 라틴어 소책자에 이 이야기 유형의 문학적 처리가 담겨 있다고 제안했다. 즉, 남매가 집에서 탈출하고, 남동생은 마녀의 저주를 받은 "위험한 물"을 마시고 양이 된다. 누이는 왕과 결혼하지만 인비디아라는 생물이 그녀를 바다로 밀어 넣고 그녀를 대신한다. 누이는 물고기가 된다.[3][4]
2. 1. 기원
오누이 이야기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17세기 잠바티스타 바실레의 ''펜타메론''에 수록된 "닌닐로와 넨넬라" 이야기이다.[33] 러시아에서는 알렉산드르 아파나시에프가 채록한 ''러시아 민담''에 "알료누슈카 누이와 이바누슈카 오빠"라는 제목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2] 이 판본에서는 세 개의 샘이 각각 송아지, 망아지, 새끼 염소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폴란드에서는 율리안 크르지자노프스키가 크시슈토프 코빌리엔스키가 1558년에 쓴 라틴어 소책자에 이 이야기 유형이 문학적으로 처리되어 있다고 제안했다.[3][4] 즉, 남매가 집에서 탈출하고, 남동생은 마녀의 저주를 받은 "위험한 물"을 마시고 양이 된다. 누이는 왕과 결혼하지만 인비디아라는 생물이 그녀를 바다로 밀어 넣고 그녀를 대신한다. 누이는 물고기가 된다. 그림 형제는 1812년 ''어린이와 가정 동화'' 초판에 이 이야기의 짧은 버전을 출판했고, 1819년 두 번째 판에서 마리 하센플루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내용을 대폭 확장하고 수정했다.[1]2. 2. 전파
폴 들라루에 따르면, 오누이 설화 유형은 동유럽에서는 매우 잘 알려져 있지만 서유럽에서는 널리 퍼지지 않았다.[10] 스웨덴 학자 발데마르 륭만(Waldemar Liungman)은 이 이야기 유형이 저지 도나우 강 지역, 서슬라브어 사용 지역, 발칸 반도에 분포한다고 주장했다.[11] 스티스 톰슨은 동유럽(러시아, 발트해 지역, 발칸 반도)뿐만 아니라 근동과 인도에서도 변형을 찾았다.[12] 리투아니아 민속학자 브로니슬라바 케르벨리테는 이 이야기가 리투아니아와 주변 국가에서 인기가 있다고 말했다.[13]20세기 초, 엘스벳 로나-스클라렉(Elsabet Róna-Sklarek)은 이 이야기가 헝가리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고 주장했다.[14] 헝가리 민담 목록(MNK)은 "암사슴 형제"라는 제목으로 분류된 48개의 변형본을 기록하고 있다.[6][15]
독일 학자 쿠르트 랑케에 따르면, 이야기 유형 ATU 450은 독일에서 흔하지 않지만, 그림 형제의 이야기 이후 수집된 14개의 텍스트를 나열한다.[16] 이란의 경우, 독일 학자 울리히 마르졸프(Ulrich Marzolf)는 페르시아 민담 목록에서 450번 유형인 "형제와 자매"의 11가지 변형을 보고하는데, 남동생은 가젤이 된다.[28]
볼프람 에버하르트와 페르테브 나일리 보라타브가 고안한 "튀르키예 민담 유형"에는 "사슴 형제"로 색인화된 32가지 변형이 터키에 존재한다.[29]
학자 하산 엘-샤미는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에서 이 이야기 유형의 43가지 변형을 찾았으며, 여주인공의 오빠는 사슴, 염소 또는 새끼 염소로 변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북아프리카에서는 이 유형이 자주 나타나지만,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단 두 가지 변형만 수집되었다.
이 이야기의 가장 오래된 문헌은 17세기에 쓰여진 잠바티스타 바실레의 『펜타메로네』에 남아 있으며, 이것이 시초로 추측된다.[33] 『러시아 민담집』에 수록된 「누이 알료누슈카와 남동생 이바누슈카」(СЕСТРИЦА АЛЁНУШКА И БРАТЕЦ ИВАНУШКА)에서는 세 개의 샘이 각각 송아지, 망아지, 새끼 염소로 변한다.
3. 줄거리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의 학대에 못 이겨 집을 나온 오누이는 숲속을 헤매게 되었다. 마녀인 계모는 오누이를 미행하면서 샘물에 마법을 내렸다. 갈증이 난 남동생가 샘물을 마시려 하자 누이(누나)은 "이 물을 마시면 호랑이가 된다"는 목소리가 들린다며 남동생을 말렸다. 조금 더 지나 다른 샘물에서 남동생가 물을 마시려 했지만 이번에도 누이(누나)은 "이 물을 마시면 늑대가 된다"는 목소리가 들린다고 남동생을 말렸다.
갈증을 참지 못한 남동생은 세 번째 샘물에서 누이의 충고를 듣지 않고 물을 마셨고 사슴이 되었다. 누나는 사슴이 된 남동생의 목에 양말끈(가터 벨트)을 매어주고 숲속의 작은 집에 살며 남동생을 보살폈다.
어느날 왕이 숲으로 사냥을 왔고 눈앞에 나타난 아름다운 사슴을 쫓던 왕은 이윽고 남매가 사는 집을 찾아냈다. 집에서 나온 누이(누나)에게 첫눈에 반한 왕은 그녀를 성으로 데려가 왕비로 삼았다.
남매가 행복하게 살고 있는 것을 알게 된 계모와 친딸은 크게 질투했으며, 계모는 성을 찾아가 이제 막 아들을 낳은 왕비를 유혹하여 목욕탕에 빠뜨려 익사시켰다. 왕비 대신 계모의 친딸이 침대에 누워 왕비인 척하며 왕을 속였다. 그러나 그날 밤부터 죽은 왕비의 유령이 나타나 자신의 아들과 사슴을 돌보았고, 유모는 이 사실을 왕에게 고했다.
왕비의 원혼이 여러 날 밤마다 사슴과 왕자 곁에 나타났으며, 여러 날 지나 사흘째 되던 날 밤, 왕은 왕비의 유령에 말을 걸었고 왕비는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왕은 계모와 그 딸을 처형했고 계모의 마법에 걸렸던 남동생도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3. 1. 오누이의 시련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의 학대에 못 이겨 집을 나온 오누이는 숲속을 헤매게 되었다. 마녀인 계모는 오누이를 미행하면서 샘물에 마법을 걸었다. 갈증이 난 남동생이 샘물을 마시려 하자 누이는 "이 물을 마시면 호랑이가 된다"는 목소리가 들린다며 남동생을 말렸다. 조금 더 지나 다른 샘물에서 남동생이 물을 마시려 했지만, 이번에도 누이는 "이 물을 마시면 늑대가 된다"는 목소리가 들린다고 남동생을 말렸다.결국 갈증을 참지 못한 남동생은 세 번째 샘물에서 누이의 충고를 듣지 않고 물을 마셨고 사슴으로 변했다. 누나는 사슴이 된 남동생의 목에 양말끈(가터 벨트)을 매어주고 숲속의 작은 집에 살며 남동생을 보살폈다.
3. 2. 왕과의 만남
계모의 학대에 못이겨 집을 나온 오누이는 숲속을 헤매게 되었다. 어느날 왕이 숲으로 사냥을 왔고 눈앞에 나타난 아름다운 사슴을 쫓던 왕은 이윽고 남매가 사는 집을 찾아냈다. 집에서 나온 누이(누나)에게 첫눈에 반한 왕은 그녀를 성으로 데려가 왕비로 삼았다. 남매가 행복하게 살고 있는 것을 알게 된 계모와 친딸은 크게 질투했으며, 계모는 성을 찾아가 이제 막 아들을 낳은 왕비를 유혹하여 목욕탕에 빠뜨려 익사시켰다. 왕비 대신 계모의 친딸이 침대에 누워 왕비인 척하며 왕을 속였다. 그러나 그날 밤부터 죽은 왕비의 유령이 나타나 자신의 아들과 사슴을 돌보았고, 유모는 이 사실을 왕에게 고했다. 왕비의 원혼이 여러 날 밤마다 사슴과 왕자 곁에 나타났으며, 여러 날 지나 사흘째 되던 날 밤, 왕은 왕비의 유령에 말을 걸었고 왕비는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3. 3. 진실과 행복
왕은 왕비의 유령에게 말을 걸어 진실을 알게 되었다. 왕비는 유령으로 여러 날 밤마다 사슴과 왕자 곁에 나타났으며, 사흘째 되던 날 밤, 왕이 왕비의 유령에 말을 걸자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왕이 왕비를 껴안자 왕비는 다시 살아났고, 계모의 사악한 계획을 알게 되었다.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왕은 계모와 그 딸을 처형했다. 계모는 화형에 처해지고, 애꾸눈 딸은 능지형에 처해졌다. 마법에 걸렸던 남동생도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마녀가 죽자 사슴은 다시 인간으로 돌아왔고, 가족은 재회하여 행복하게 살았다.4. 분석
4. 1. 유형
"오누이"는 AT-450에 해당하는 이야기 유형으로, "아기 양과 작은 물고기"와 유사하다.[1] 어떤 버전에서는 여왕이 죽지 않고 악한 계모에 의해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왕에 의해 깨어난다.[5] 서슬라브어 변형에서는, 남매가 집에서 도망치는 이유는 부모의 식인 시도를 막기 위해서이다.[6]이 이야기는 AaTh 403 ("검은 신부와 흰 신부"), AaTh 451 ("일곱 마리의 까마귀"), AaTh 706 ("살바티카"), AaTh 710 ("성모의 아이") 등 다른 이야기 유형들과 유사성을 보인다.[7] 헝가리계 미국 민속학자 린다 데그와 스티스 톰슨은 유형 450과 403 사이의 유사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6][8] 독일 민속학자 이네스 쾰러는 두 유형 사이의 공통점 (예: 여주인공의 오빠 역할, 여주인공의 대리)을 언급했지만, ATU 450 유형의 "주요 특징"은 오빠의 동물 변신이라고 언급했다.[9]
4. 2. 해석
이 이야기는 여성이 오빠를 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열두 형제, 일곱 마리의 까마귀, 여섯 마리 백조와 같은 이야기에서도 나타난다. 이 이야기가 수집된 시대와 지역에서는 많은 남성이 왕에 의해 용병으로 징집되었다. 그 결과, 많은 남성이 딸을 상속자로 삼았지만, 딸과 딸의 결혼에 대한 통제력은 더 커졌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여성들이 오빠의 귀환을 바라면서 통제에서 벗어나기를 소망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유사한 이야기는 다른 많은 문화권에서도 발견되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이 이야기의 영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을 수도 있다.현대 정신분석학은 이 이야기 속 오누이의 관계를 인간 내면의 동물적 본능과 영성의 이중성을 나타내는 은유로 해석한다. 오빠는 본능을, 여동생은 합리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오빠가 샘에서 물을 마시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지 못해 사슴으로 변하는 벌을 받는 것이나, 여동생이 오빠의 목에 금 목걸이를 걸어 주는 상징적인 행동은 동물적인 면을 길들이는 것을 암시하는 듯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누이'는 성장 이야기로 볼 수 있으며, 동물적인 면은 남성과, 정신적/합리적인 면은 여성과 연관된다.
또한, 이 이야기는 역경과 분리 속에서도 가족 간의 신의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5. 각색
5. 1. 문학
엘렌 스테이버의 단편 소설 "밤의 나라(In the Night Country)", 테리 윈들링의 시 "오누이(Brother and Sister)", 바스 앤더슨의 시 "누이와 형제(Sister and Brother)" 등은 오누이와 분석적 주제를 차용한 현대 문학 작품이다.5. 2. 텔레비전
일본 니폰 애니메이션의 애니메이션 그림 형제 동화 극장(Grimm's Fairy Tale Classics) 시즌 2에서 이 이야기를 다루었다.[30] 남매는 "칭호"가 아닌 다른 이름, 즉 오빠는 루돌프, 여동생은 로사로 불린다.[30] 로사는 마녀에게 살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납치되어 산으로 강제로 끌려간다.[30] 그녀는 일종의 분신을 사용하여 자신의 영혼을 보내 아기에게 먹이를 주지만, 이 과정에서 그녀는 심하게 쇠약해진다.[30] 그녀의 남편인 왕과 그의 군인들이 그녀가 시들어 죽기 직전에 그녀를 구한다.[30] 사악한 의붓 여동생은 이야기에서 생략되었으며, 마녀는 화형을 당하기보다는 화면 밖에서 죽는다.[30]헝가리 버전의 이야기는 헝가리 텔레비전 시리즈인 ''Magyar népmesék'' ("헝가리 민담") (hu)의 에피소드로 각색되었다.[30]
러시아 버전의 이야기는 1953년에 만화로 각색되었다.[30]
참조
[1]
웹사이트
Little Brother and Little Sister
http://www.pitt.edu/[...]
2002
[2]
문서
Сестрица Алёнушка, братец Иванушка
Афанасьев, Александр. "Народные русские сказки". Tom 2. Tales nr. 260—263
[3]
논문
K. Kobylińskiego epyllion o "Rybce"
https://bazhum.muzhp[...]
1947
[4]
논문
Two Old-Polish Folktales
1959
[5]
서적
The Complete Brothers Grimm Fairy Tales
Avenel Books
1981
[6]
서적
450 Hungarian Folktales: The Art of Zsuzsanna Palkó
https://books.google[...]
Garland Publishing
1996
[7]
문서
Two Old-Polish Folktales
https://doi.org/10.1[...]
1959
[8]
서적
The Folkta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9]
간행물
Brüderchen und Schwesterchen (AaTh 450)
De Gruyter
1979
[10]
서적
The Borzoi Book of French Folk-Tales
Alfred A. Knopf, Inc.
1956
[11]
서적
Die Schwedischen Volksmärchen: Herkunft und Geschichte
De Gruyter
2022
[12]
서적
The Folkta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13]
서적
Литовские народные сказки
ФОРУМ; НЕОЛИТ
2015
[14]
서적
Ungarische Volksmärchen
Dieterich
1909
[15]
서적
Magyar népmesekatalógus 2
MTA Néprajzi Kutató Csoport
1988
[16]
서적
Schleswig-Holsteinische Volksmärchen
F. Hirt
1957
[17]
문서
ΕΠΕΞΕΡΓΑΣΙΑ ΠΑΡΑΜΥΘΙΑΚΩΝ ΤΥΠΩΝ ΚΑΙ ΠΑΡΑΛΛΑΓΩΝ AT 300-499
ΚΕΝΤΡΟ ΝΕΟΕΛΛΗΝΙΚΩΝ ΕΡΕΥΝΩΝ Ε.Ι.Ε.
1999
[18]
서적
Сравнительный указатель сюжетов. Восточнославянская сказка
НАУКА
1979
[19]
논문
K. Kobylińskiego epyllion o "Rybce"
https://bazhum.muzhp[...]
1947
[20]
서적
Polska bajka ludowa w ukìadzie systematycznym: Wa̜tki 1-999
https://books.google[...]
Wydawn. Polskiej Akademii Nauk
1962
[21]
논문
Древни обредно-календарни мотиви в българската народна приказка "Братче-еленче"
https://www.ceeol.co[...]
1989
[22]
서적
Български фолклорни приказки: каталог
Университетско издателство "Св. Климент Охридски"
1994
[23]
서적
Typenverzeichnis der bulgarischen Volksmärchen
https://books.google[...]
Suomalainen Tiedeakatemia
1995
[24]
서적
Monumenta Estoniae antiquae V. Eesti muinasjutud. I: 1. Imemuinasjutud
Tartu Ülikooli eesti ja võrdleva rahvaluule osakond, Eesti Kirjandusmuuseumi Eesti Rahvaluule Arhiiv
2009
[25]
서적
Latviešu pasaku tipu rādītājs
Zinātne
1977
[26]
서적
Lietuvių pasakojamosios tautosakos motyvų katalogas
Lietuvių tautosakos archyvo leidinys
1936
[27]
서적
The Index of Georgian Folktale Plot Types: systematic directory, according to the system of Aarne-Thompson
https://dspace.nplg.[...]
Merani
2000
[28]
서적
Typologie des persischen Volksmärchens
https://menadoc.bibl[...]
Orient-Ins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 Wiesbaden: Steiner [in Komm.]
1984
[29]
서적
Typen türkischer Volksmärchen
Steiner
1953
[30]
웹사이트
Sestritsa Alyonushka i bratets Ivanushka
https://www.imdb.com[...]
[31]
문서
Tales Similar to Brother and Sister
http://www.surlalune[...]
[32]
서적
メルヘンの面白さ:分類グリム童話の鑑賞
中央大学出版部〈UL双書〉
1973
[33]
서적
The Fairy Tale: The Magic Mirror of Imagination
Twayne Publishers, New York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